본문 바로가기

Data Science/3. 데이터 엔지니어링

[n321]Python 활용(1)

■ Key words

  ㆍList

  ㆍDictionary

  ㆍ반복분(for / while)

  ㆍ조건문(if)

  ㆍ자체 제작 함수(def)

 

■ 주요내용

  ㆍpython 연산자 및 코드

     + : 덧셈
     -  : 뺄셈
     *  : 곱셈
     /  : 몫 구하기
     // : 정수형 몫 구하기
     ** : 거듭제곱
     % : 나머지 구하기

  ㆍValue와 Type : python의 모든 자료형은 class로 구현됨; type()함수는 해당 값이 어떤 type의 class인지 알려줌.

  ㆍ주석(Comments) : 다른 사람과의 협업 혹은 재사용을 위해 작성

      - 주요 클래스, 함수의 기능, 변수에 대한 명명 규칙, 소스코드 작성날짜 및 수정날짜 등 작성

      - 외부제출용(공식적인 주석) / 내부공유용 혹은 설명을 위한 

  ㆍ반목문(for / while) : for [생성되는 신규 변수 / 기 입력 변수] [in range() / 컬렉션 변수] :

     - while은 한정된 범위가 없지만, for은 지정 가능하므로 더 많이 쓰임

     - break를 통해 조건문/반복문에서 탈출 가능

     - continue : 해당 조건에서는 통과, 다음 인수로 넘어가기

 

■ Session note

  ㆍ

 

■ 주요함수

  ㆍ1 ~ 20 정수 출력하기

def first():
    for i in range(1,20):
        print(i)
        
first()

 

  ㆍ1 ~ 50 정수 중 3과 5의 공배수 구하기

def second():

    for i in range(1,51):
        if i%3==0 and i%5==0 # 3과 5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숫자
            print(i)
            
if __name__=="__main__": # 해당 파일이 다른 파일에서 불려온 것이 아니라 직접 열린 파일일 경우
  second()

 

  ㆍ0부터 입력받은 숫자까지 정수 출력

test_num = int(input())

# case 1 - if 조건문 사용 및 함수 자신 호출
def third(test_num):
  if test_num > 0:
    third(test_num-1)
  print(test_num)
  
third(test_num)


# case 2 - for 반복문만 사용
i = 0
for num in range(i,test_num+1): # 0이상 test_num + 1 미만
  print(num)


# case 3 - for 반복문을 사용하고 함수 자신 호출
t = test_num
def third(test_num):
  i = 0
  for i in range(i,test_num+1):
    print(t-test_num)
    test_num -= 1

third(test_num)

 

 

■ Reference

  ㆍ

'Data Science > 3. 데이터 엔지니어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n323]Web Scraping  (0) 2021.07.19
[n322]python 활용(2)  (0) 2021.07.17
[n314]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(2/2)  (0) 2021.07.13
[n313]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(1/2)  (0) 2021.07.12
[n312]Docker  (0) 2021.07.12